
자귀나무(Persian silk tree 또는 pink silk tree)
마음과 눈을 홀딱 빼앗아가는 나무가 있습니다.
한 여름 불꽃놀이 같은 곱디고운 꽃잎을 피우는 나무......
공작의 꼬리처럼 눈부시고 화려한 꽃이 피기 시작하면 장마가 시작된다고 합니다.
페르시안의 비단나무라고 하는 콩과식물인 이 나무는 자귀나무입니다.
자귀나무의 학명은 Albzia julibrissin 입니다.
원산지는 한국, 중국, 이란등 입니다.
우리말 명칭인 자귀나무의 어원은 분명치 않습니다.
나무를 깍는 연장인 '자귀'를 만드는데 쓴다고 하여 자귀나무라는 설과 자는 시간을 귀신같이 맞춘다고 하여 자귀나무라는 설 등이 있습니다.
소가 자귀나무의 잎을 좋아해서 소쌀밥나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자귀나무의 열매인 콩깍지가 바람에 부딪혀 달가닥 거리는 소리가 난다고 하여 여설목(女舌木)이라고도 합니다.
또 낮이면 잎이 열리고 밤이되면 잎이 닫히는 것이 금슬 좋은 부부가 꼭 껴안고 자는것 같다고 하여 합환목, 합혼수, 야합수, 유정수라는 많은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꽃말은 환희, 가슴이 두근거림입니다. 자귀나무 꽃이 피기 시작하면 장마가 시작할 징조라고 여겼다고 합니다.

자귀나무 생태
자귀나무꽃은 봄꽃이 다 지고 난 뒤 6~8월에 피고 양성화이며 15~20개의 꽃이 우산모양으로 달립니다.
분홍 수술이 고운 실 처럼 아름답습니다.
꽃받침과 꽃잎은 녹색이지만 수술은 길이 3cm정도이고, 윗부분이 붉고 아랫부분이 하얗습니다.
꼬투리는 편평하고 길이 15㎝ 정도로 9∼10월에 익습니다.
수평적으로는 중부 이남의 서해안변에 주로 많이 나타나며 수직적으로는 높이 50∼700m 사이에 분포합니다.
산록 및 계곡의 토심이 깊은 건조한 곳을 좋아합니다.
중부 이북지방에서는 추위에 약하기 때문에 경제적 성장이 어렵고 보호, 월동하여야 합니다.
병충해와 공해에 강하기 때문에 도심지에 식재하면 좋습니다.
자귀나무는 어둡고 서늘한 깊은 숲속보다는 사람들의 마을, 바람이 잘 통하는 탁 트인 들판에서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자귀나무는 층층나무나 산딸나무처럼 잎과 가지를 우산처럼 펴고 그 위로 분홍 꽃을 쉬지 않고 피우며 비단을 깔아놓은 듯 아름답습니다.

자귀나무 효능
한방에서는 수피를 약재로 사용합니다. 생약명은 합환피(合歡皮)입니다.
약성은 평(平)하고 감(甘)하며, 활혈(活血)·진정(鎭靜)·소종·구충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신경쇠약·불면 등의 증상과 임파선염·인후염·골절상 등에 치료제로 사용하며 구충제로도 이용합니다.
어린 잎과 꽃은 차로 마시며, 줄기나 뿌리껍질은 가을부처 이른 봄'까지 채취하여 쪄서 말렸다가 다른 약재와 함'께 사용합니다.
동의보감에서는 합환피는 "성질은 한열에 치우치지 않고 평하며 맛은 달고 독이 없다. 오장을 편안하게 하고 마음과 뜻(心志)를 안정시키고 근심을 없애고 즐겁게 한다"고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