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과 뉴스

조경수 - 살구나무와 살구 효능

반응형

살구나무

살구 [ Apricot ]

 

살구는 장미과에 속하는 수목의 열매입니다.
둥근모양에 붉은색을 띤 노랑색을 띠고 있어며 살구의 껍질은 벨벳처럼 부드러운 질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과육은 연하고 즙이 많지 않으며 맛이 달고 향기가 진합니다.
매끈한 씨앗은 과육과 쉽게 분리됩니다.
살구나무는 낙엽소교목으로 높이 5m정도입니다.
살구는 7월에 익으며 원산지는 아시아입니다.
살구나무는 수천 년 전 중국에서 야생 상태로 자라나기 시작했고, 인도를 거쳐 이후 페르시아와 아르메니아로 퍼져나갔습니다.(이 과일의 라틴어 학명 Prunus armeniaca는 여기서 유래했다).
우리나라에서 살구가 재배되기 시작한 때는 확실치 않으나 오래전부터 중부 이북지방의 산야에서 자생되어왔던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살구의 재배지는 사과의 재배지와 거의 일치합니다.

살구나무 꽃

살구는 내한성이 강하고 겨울의 휴면기간이 길어서 개화기가 늦지만 개화중이나 개화후 늦서리, 저온 등에 의하여 상해를 받기 쉬우므로 늦서리의 해를 입지 않도록 합니다.

살구(殺狗)는 말 그대로 '개를 죽인다'는 뜻입니다.
매화처럼 살구나무도 꽃을 먼저 피웁니다. 연분홍 살구꽃은 벚꽃 못지 않게 아름답고 황홀합니다.
이 아름다운 꽃과 멋진 열매를 가진 살구가 섬뜩한 뜻을 가진 이유는 살구씨 때문입니다.
살구씨는 "행인"이라고 하며 청산가리 성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살구나무

살구의 사용

통조림이나 쥬스로 만든다.

살구의 과육은 쉽게 물러집니다. 싱싱한 상태일 때 바로 통조림이나 쥬스를 만드는데 사용합니다.

디저트 등에 사용됩니다.

파스트리(따듯하거나 차가운 디저트, 다양한 케이크, 과일화채나 샐러드, 아이스크림), 당과류(과일콩피, 마멀레이드, 잼)제조에 사용하며, 과육을 갈아서 퓌레나 쿨리를 만들어 아이스크림이나 소르베의 재료로 사용됩니다.

살구는 나무에서 딴 이후에는 후숙되지 않기 때문에 잘 익은 것으로 구입합니다.

물에 씻을 경우에는 물기를 꼼꼼히 제거하여야 제 맛을 즐길 수 있습니다.

살구나무

살구 효능

 

살구씨에는 "아미그달린"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아미그달린은 몸 안에서 '글루크로니다제'라는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청산을 만드는데 이것이 암세포를 분해시킵니다.
살구씨를 '행인'이라고 하며 한방에서 처방되고 있습니다.
주로 호흡기 질환에 처방되며 호흡곤란과 천식치료에 효과가 좋다고 알려졌습니다.
또 살구씨는 지방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노인 또는 허약한 사람의 진액(津液)의 부족으로 인한 변비와 출산 후의 변비에 마자인, 당귀등과 배합하여 사용됩니다. 

살구 과육

살구씨는 다량을 복용하면 가볍게는 어지러움·구토 등이, 심하게는 의식장애·경련·호흡곤란·동공산대(瞳孔散大) 등의 중독 증상을 일으킵니다.

좋은 살구 고르기

살구는 과육의 연화가 빨리 진행되기 때문에 상처가 없는 것으로 고릅니다.
육질이 단단하면서 연하고 당도가 높고 과즙이 많은 것으로 고릅니다.

잘 익은 살구

가정에서의 보관방법

살구는 쥬스, 설탕절임, 샤베트, 잼, 젤리 , 케이트등 과자 재료에 이용 합니다.
생과일을 구하기 힘들 때에는 말린 살구를 구입합니다.
말린살구는 생과일보다 가공하기 쉽고 맛도 거의 똑같습니다.

살구는 상온에서 완숙시킨 다음 먹습니다.
저장을 오래하고 싶을 경우 폴리에틸렌 봉지에 담아 냉장고에 저장합니다.
살구는 0~20도 사이에서 보관하며 습도는 90 ~ 95%가 최적 습도입니다.

건살구

건살구

 

건살구는 건조되면서 수분이 줄어들어 열량이 높아집니다. (동일 중량기준 건살구는 생살구보다 칼로리가 높습니다.)
그냥 마른 상태로 먹기도 하지만 요리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미리 따뜻한 물에 최소 2시간 종도 담가서 불려둡니다.

건살구는 베타카로틴과 철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노화의 예방과 조혈작용에 효과가 있습니다.
육류를 조리할 때 건살구를 갈아 넣으면 소화에 도움이 됩니다.

평양의 가로수는 살구나무

북한의 수도 평양에는 살구나무가 가로수임이 밝혔졌습니다.
통일뉴스에 따르면 북한의 신문 통일신보에서 평양의 특이한 가로수 풍경이라는 기사를 소개했으며 평양의 개선문세서 천리마동상으로 향한 도로를 따라서 살구나무가 즐비하게 늘어서 있다.
보기에도 먹음직스러운 살구열매들이 가지가 부러지도록 주렁주렁 달린 모양이 볼수록 멋이 있었다고 소개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