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과 뉴스

원추리 , 왕원추리

반응형

원추리

근심을 잊게 한다는 뜻으로 한자 이름을 '훤초(萱草)'라고 하는데, 이것이 '원쵸리', '원츌리'로 변하다가 '원추리'로 이름이 변했다고 한다. 
홑왕원추리 → 원추리로 국명 변경 (2007.04.11일 기준)

겹첩넘나물, 들원추리, 큰겹원추리, 겹첩넘나물, 홑왕원추리, 기새(영남), 넓나물, 신달미(전남 완도), 왕원추리, 금침채,등황옥잠,등황훤초, 원추리(북한), 넘나물(북한), 황화채(북한)이라고도 불린다.

특징

다년초로 뿌리는 사방으로 퍼지고 원뿔 모양으로 굵어지는 것이 있다. 
잎은 2줄로 늘어서고 길이 약 80cm, 나비 1.2~2.5cm이며 끝이 처진다. 
조금 두껍고 흰빛을 띤 녹색이다. 
꽃이 여러 겹인 것을 왕원추리(var. kwanso)라고 한다.

 용도

관상용, 밀원용으로 쓰이고 어린 순은 나물로 먹으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꽃을 중국요리에 사용하며 한방에서는 뿌리를 황달, 이뇨, 강장, 생남약, 지혈, 소염, 번열 등에 약재로 쓴다.
자양강장 피로회복 주독을 푸는데는 특효이다.

분포

우리나라 각지의 산지에 자생하며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