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과 뉴스

기린초의 생태와 활용

반응형

약초 정원

봉우공원에 산책나온 길에 약초정원에 들렀습니다.
약초 정원이라고 할 만큼 많은 약초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붓꽃이며 맥문동, 원추리, 뽕나무, 둥굴레 등의 꽃을 볼 수 있습니다.

기린초

오늘은 기린초도 발견했네요. ㅎㅎㅎ

가끔식 새로운 식물을 발견할 때 산책 나온 기쁨을 느낍니다.

기린초

학명은 Sedum kamtschaticum Fisch. & Mey.입니다.

기린초는 우리나의 전역 바닷가나 산지의 바위틈에서 자생하고 있는 여러해살이풀입니다.

꽃이 핀 기린초

기린초 생태

기린초의 생김새가 다육식물과 비슷하고 주변에서 쉽게 볼수 있는 돌나물과 비슷해서 익숙하게 느껴지는 식물입니다.

기린초 줄기는 뿌리에서 많이 올라요며 아랫부분을 붉은색을 윗부분은 녹색을 띄고 있습니다.

잎은 줄기에 잎자루가 없이 바로 달리는데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두껍습니다.

기린초의 꽃은 6~7월에 줄기 끝에서 노란색 작은 별모양이 모여서 핍니다.

기린초는 건조한곳에서도 잘 자라며 주택의 자연석 조경이나 암석정원에 응용되고 있습니다.

기린초는 물을 많이 줄 필요가 없어 도로변이나 공원의 조경에도 이용되고 있습니다.

기린초

기린초(Sedum kamtschaticum)는 돌나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다육식물입니다.

돌나물과에 속하는 식물들은 줄기가 옆으로 자라면서 길고 두툼한 잎을 가지고 있습니다.

채송화와 돌나물을 예로 들수 있습니다.

기린초는 옆으로 자라지 않고 줄기가 위로 곧게 자랍니다.

높이는 보통 30cm정도 입니다.

키가 큰 기린은 아니지만 꽃대가 기린의 목처럼 길게 늘인것 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기린초

기린초 효능

기린초는 비채(費菜) 또는 양심초(養心草) 마삼칠(馬三七) 토삼칠(土三七) 또는 혈초(血草)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며 오래 전부터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기린초는 약간 신맛이 나며 성질은 뜨겁거나 차갑지 않고 독이 없습니다.
기린초는 다양한 종류의 플라보노이드와 시토스테롤 및 퀘르세틴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작용과 소염작용이 있습니다.

1. 기린초의 어린싹은 나물로 식용합니다.

2. 생잎은 타박상이나 종기에 찧어 붙이며 효과가 있습니다.

관절을 다치거나 삔 환자에게 기린초를 이용하여 치료해 평균 98%의 회복을 보였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급성임파구성백혈병으로 치질이 심하게 부어 오르는 증상에 기린초 달인물로 자주 씻어 증상을 가라앉게 하였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혈소판 감소증으로 멍이 자주 드는 경우에는 기린초를 복용하면 증상이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지혈작용이 있어 코피, 혈변, 토혈 등에 사용되었습니다.

기린초는 지혈 효과도 나타내어 혈액응고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능을 보입니다.

피를 토할 경우 신선한 기린초의 즙을 마시면 증상이 가시게 된다고 합니다.
중국에서는 지혈효과가 뛰어난 한약재인 삼칠근(三七根)과 비슷하다고 하여 토삼칠, 마삼칠, 혈초 등의 이름으로 기린초를 부릅니다.

4. 혈액순환, 신경안정제로 이용됩니다.

기린초는 혈관을 확장하는 작용이 있으며 혈압을 떨어뜨리는 효능도 있습니다.
심장을 흥분시키는 작용을 하면서도 진정작용과 신경안정의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동맥경화를 방지하며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뇌혈관을 확장, 관상동맥의 순환을 개선시킵니다.
혈압을 낮추고 중풍예방, 심장질환 예방과 치료에 처방됩니다.

민간요법으로 불안증과 심계항진이 있을때 기린초와 꿀을 섞어서 마십니다. 마음이 진정되고 두근거리는 증상이 없어진다고 합니다.
심장병과 고지혈증환자게 기린초 달인 물을 먹게 하면 콜레스테롤이 낮아지고 관상동맥의 순환이 개선된다고 합니다.

5. 항암, 항염작용이 있습니다.

기린초가 암세포의 분열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으며 식도암세포를 사멸시키는 효능을 보였으며 다른 암세포의 성장도 억제합니다. 또한 간염환자의 생존율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 되었습니다.

염증을 억제하는 소염작용과 진통효과가 강합니다.
기린초 추출물을 투여했을때 염증으로 부풀어 오른 실험동물의 부기가 가라앉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기린초 추출액의 항염효과는 부신피질호르몬제제와 거의 동등한 효능을 나타내며,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바탕으로 한 진통효과도 아스피린에 맞먹을 정도로 강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