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가리
다 익어서 벌어진 열매 꼬투리가 박으로 만든 조그만 바가지 같다고 하여 '박주가리'라고 한다.
학명은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이며 다른이름으로 새박덩굴이라고 한다.
박주가리는 덩굴성 다년초로 땅속줄기가 길게 벋어가고 여기서 자란 덩굴이 길이 3m 정도로 자라며, 자르면 흰젖 같은 유액(乳液)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고 긴 심장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끝은 뾰족하고 뒷면은 분록색이며 잎자루는 길이 2~5cm이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이 모여서 피는 형태에 달린다.
화관은 넓은 종처럼 생기고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안쪽에 털이 털이 빽빽이 난다.
꽃은 넓은 바소꼴이며 겉에 사마귀 같은 돌기가 있다.
열매가 익으면 중간이 갈라져 씨를 퍼트린다.
종자는 편평한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며 한쪽에 명주실 같은 털이 있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박주가리 효능
박주가리는 정기를 보호하며 유즙이 나오게 하고 종기에 효과가 있습니다.
여름철에 전초를 베어 햇볕에 말려서 사용합니다. 주로 탕약으로 사용합니다.
맛은 달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다. 정기를 보하고 젖이 잘나오게 하며 해독작용이 있다.
박주가리는 유독성식물로 흰 유액에 독성분이 들어 있으며 연한 순을 나물로 식용하며, 잎과 열매를 강장, 백선, 익정, 강정, 해독에 약용한다.
종자의 털은 솜 대신 도장밥과 바늘쌈지를 만든다.
精氣(정기)를 補益(보익)해독. 폐결핵, 양위, 帶下(대하), 乳汁不通(유즙불통)의 효능이 있다.
전국 각지의 산야지 대개는 낮은 지대의 길가 구릉지 등의 양지에 자생하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박주가리
마디마다 2개씩 마주나며 길이 5~10cm, 나비 3~6cm의 긴 심장형 또는 달걀 모양의 심장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뾰족하다. 양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분처럼 흰색을
100.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