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은 단지의 정원이 풍요롭습니다.
오늘은 곱게 핀 참나리를 만났습니다.
단지 이곳 저곳에 무심한듯 피어나는 참나리꽃이 옛 향수를 불러 일으킵니다.
참나리
참나리는 여러해살이 풀이며 뿌리는 비늘줄기입니다. 꽃에 호랑 반점이 있어 "호랑나리"라고도 합니다.
줄기는 흑자색이며 흑자색 점이 있습니다.
어릴 때 희털로 덮여있으며 비늘줄기는 크게 자라면 지름이 5~8cm 정도입니다. 비늘은 흰색이거나 약간 황색입니다.
잎은 길이 5~18cm, 폭 5~15cm 정도입니다.
잎은 평행맥이고 털이 없습니다.
한여름에 잎겨드랑이에 살눈이 달립니다.
살눈(bulblet)은 성숙하면 땅에 떨어져 뿌리를 내리고 하나의 개체로 성숙합니다.
이렇게 번식하는 것을 영양번식이라고 합니다.
줄기의 위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원줄기와 가지끝에 꽃이 핍니다.
꽃은 7~8월에 피며 밑을 향하고 있습니다.
꽃잎은 6장이며 밖의 3장이 안의 3장보다 폭이 약간 좁습니다.
꽃잎 안쪽 아래 부분에 짧은 털이 있습니다. 꽃잎은 피침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익가 7~10cm이며 짙은 황적색에 흑자색 점이 산포하며 잎이 뒤로 말려있습니다. 꽃잎 안쪽 아래부분에 짧은 털이 있습니다.
참나리 특징
열매를 맺지 못하고, 잎 밑 부분에 있는 주아가 땅에 떨어져 발아한다.
하늘말나리(Lilium tsingtauense Gilg)는 산야에 자생한다.
지리산하늘말나리(Lilium tsingtauense Gilg var. carneum nak.)는 꽃잎에 자주색 점무늬가 없다.
누른하늘말나리(L. tsingtauense Gilg var. flavum Wils.)는 짙은 황색 꽃이 핀다.
섬말나리(L. hansonii Leichtl)는 울릉도에 자생한다.
말나리(L. distichum Nakai)는 꽃이 옆을 향해 핀다.
날개하늘나리(L. davuricum Ker-Gawl.)는 낭림산 이북에 자생한다.
하늘나리(L. concolor var. partheneion Bak.)는 산야에 자생한다.
솔나리(L. cernum Kom.)는 강원도 이북 심산에서 자생한다.
검은솔나리(L. cernum Kom. var. atropurpureum Bak.)는 흰색꽃이 핀다.
흰솔나리(L. cernum Kom. var. candidium Nak.)는 검은 홍자색 꽃이 핀다.
큰솔나리(Lilium tenuifolium Fisch.)는 충주, 평안도, 만주, 몽고지방에 자생.
땅나리(L. callosum S. et Z.)는 중부 이남에 자생한다.
털중나리(L. amablie Palibin)는 줄기에 털이 나 있다.
중나리(L. leichtlinii var. tigrinum Nichols.)는 털이 약간 있거나 없다.
참나리 효능
관상용으로 심고 어린 순과 인경은 식용하며, 한방에서 비늘줄기를 약재로 쓰는데, 진해, 강장 효과가 있고, 백혈구감소증에 효과가 있으며, 진정 작용, 항알레르기 작용이 있다.
인경을 자양, 강장, 종기, 건위 등에 약재로 쓴다.
정원이나 노지의 화단에 군식하거나 큰 화분에 심어 감상하면 좋고 가정에서 재배하여 절화용으로 사용하여도 좋다.
특히 키가 높게 자라므로 다른 자생식물들과 함께 혼식하면 아름다운 입체화단을 조성할 수 있다.
참나리 활용
식용 : 참나리의 어린 순이나 구근을 나물로 무치거나 볶아 먹는다.
약용 : 鱗莖(인경)의 鱗葉(인엽)은 百合(백합), 花(화)는 百合花(백합화), 종자는 百合子(백합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百合(백합)
①가을에 채취하여 지상부분을 버리고 깨끗이 씻어 인편을 끓는 물에 잠깐 담갔다가 건져내거나 살짝 쪄서 불에 쬐거나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인경에는 colchicine 등 다종의 alkaloid 및 전분, 단백질, 지방 등이 함유되어 있다.
참나리 葯胞(약포)에는 수분, 회분, 단백질, 지방, 전분, 환원당, 비타민 B1, B2, pantothenic acid, 비타민 C 및 β-caroteno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潤肺止咳(윤폐지해), 淸心安神(청심안신)의 효능이 있다. 폐결핵의 久咳(구해), 咳垂痰血(해수담혈), 熱病(열병)의 餘熱未淸(여열미청), 虛煩驚悸(허번경계), 精神恍惚(정신황홀), 脚氣浮腫(각기부종)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30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삶아 먹거나 죽을 만들어 먹는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⑵百合花(백합화)
①약효 : 潤肺(윤폐), 淸火(청화), 정신을 안정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咳嗽(해수), 眩暈(현운), 夜寢不安(야침불안), 天疱濕瘡(천포습창)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6-12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고루 바른다.
⑶百合子(백합자)
①약효 : 腸風下血(장풍하혈)을 치료한다. 백합자를 술로 약간 빨갛게 될 정도로 볶아서 가루 내어 溫湯(온탕)으로 복용한다.
참나리의 생약성분으로 비타민 B,C군과 판텐토산, 베타카로티노이드 등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생약 성분을 오남용 하게 된다면 심각한 부작용을 발생시킬수 있습니다.
비타민과 판텐토산이 필요하다면 건강식품으로 섭취하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건강식품이 필요하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 해보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