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선화는 줄기와 가지 사이에서 꽃이 피며 우뚝하게 일어서 봉(鳳)의 형상을 하므로 봉선화라는 이름이 생겼다.
봉선화
인도, 말레이시아 및 중국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들여와 전국 각지의 집 화단에 흔히 심고 있는 귀화식물이다.
햇볕이 드는 곳에서 잘 자라며 나쁜 환경에서도 비교적 잘 자란다.
습지에서도 잘 자라므로 습윤한 찰흙에 심고 여름에는 건조하지 않게 한다.
씨앗에 의해 번식한다.
파종기는 보통 3~4월인데, 5~6월에도 파종을 하며 늦가을까지 차례로 꽃이 핀다.
모종으로 기른 것은 싹튼 후 본잎이 2~3매 나왔을 때 옮겨 심는다.
1년초인 만큼 씨앗에 의해 번식하는데, 재배는 매우 쉬워서 아무데나 파종하면 싹이 트고 성장한다.
파종기는 보통 3~4월인데, 5~6월에도 파종을 하면 늦가을까지 차례로 꽃이 핀다.
모종으로 기른 것은 싹튼 후 본잎이 2~3매 나왔을때 옮겨 심는다.
1년초로 높이 60cm 이상 되는 고성종(高性種)과 25~40cm로 낮은 왜성종(矮性種)이 있는데, 곧게 자라고 육질(肉質)이며 밑부분의 마디가 특히 두드러진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바소꼴로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4~5월에 씨를 뿌리면 6월 이후부터 꽃이 피기 시작한다.
꽃은 2~3개씩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꽃대가 있어 밑으로 처지며 좌우로 넓은 꽃잎이 퍼져 있고 뒤에서 통상으로 된 꿀주머니가 밑으로 굽는다.
꽃빛깔은 분홍색 , 빨간색 , 주홍색 , 보라색 , 흰색 등이 있고, 꽃 모양도 홑꽃 , 겹꽃이 있다.
수술은 5개이고 꽃밥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씨방에 털이 있다.
열매는 속에 씨앗이 들어있는 형태로 타원형이고 털이 있으며 익으면 탄력적으로 터지면서 씨가 튀어나온다.
유사종으로는 제주물봉선, 물봉선 등이 있다.
유독성식물로 빨간봉선화는 독성이 강하여 식용이나 약용으로 사용 할 수 없지만 흰 봉선화는 약용으로도 많이 사용되는 꽃이다.
봉선화의 종자(급성자)는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있어 30개 이상을 먹으면 사망할 수도 있다.
이 꽃에는 양서류와 파충류들이 싫어하는 특유의 냄새가 발산된다.
관상용으로 심고 옛날부터 부녀자들이 손톱을 물들이는 데 많이 사용했다.
전초를 염료재로 쓰며, 한방에서는 종자를 소화, 타박상, 사독, 안산, 오식, 해독 등에 약재로 쓴다.
봉숭아, 금봉화, 봉사, 베염고장, 소입(제주), 미인초(전남 완도), 봉선, 투골초, 지갑화, 봉황죽, 등잔화, 급성자, 금사화 라고도 불린다.
봉선화의 활용과 효능
관상용 재배.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 봉선화로 천을 염색한 기록은 없다.
잎과 꽃을 갈아 끓여서 염액을 내었다. 매염제를 쓰지 않은 상태에서도 곱게 물들었다. 매염제에 대한 반응도 좋다.
全草(전초)는 鳳仙(봉선), 根은 鳳仙根(봉선근), 花는 鳳仙花(봉선화), 종자는 急性子(급성자)라 하며 약용한다.
⑴鳳仙(봉선) -
①봉선화의 전초로, 여름-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祛風(거풍), 活血(활혈), 消腫(소종),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성관절염, 打撲痛(타박통), 나력옹종, 정창을 치료한다.
⑵鳳仙根(봉선근) -
①성분 : 뿌리에는 cyanidin monoglycoside가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活血(활혈), 通經(통경), 軟堅(연견),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筋骨疼痛(근골동통), 咽喉諸骨(인후제골)을 치료한다.
⑶鳳仙花(봉선화) -
①개화기의 매일 오후에 채취하여 협잡물을 가려 내고 햇볕에 말린다. 보통 홍, 백 2색의 꽃을 약으로 쓰면 좋다고 알려져 있다.
②성분 : 꽃에는 각종의 anthocyanin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것을 분해하면 cyanidin, delphinidin, pelargonidin, malvidin을 얻을 수 있다. 또 kaempferol, quercetin 및 일종의 naphthoquinone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祛風(거풍), 活血(활혈), 消腫(소종),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小便不利(소변불리), 風濕偏捿(풍습편폐), 腰脇疼痛(요협동통), 閉經腹痛(폐경복통), 산후의 瘀血(어혈), 下死胎(하사태-사산), 타박상, 癰疳(옹감), 정창, 鵝掌風(아장풍), 灰指甲(회지갑)을 치료한다.
⑷急性子(급성자) -
①과실이 성숙하였을 때 채취하여 과피 등의 잡물을 가려내고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Balsaminasterol, parinarin酸(산), saponin, 지방유, 다당류, 단백질, 아미노산, 精油(정유) 및 quercetin의 다당배당체와 kaempferol유도체 등의 flavonoid를 함유하고 있다.
③약효 : 破血(파혈), 消積(소적), 淸肝(청간), 軟堅(연견)의 효능이 있다. 산후복통, 월경폐지, 소아비적, 간염, 積塊(적괴), 일격, 外瘍堅腫(외양견종), 咽喉(인후)에 고기뼈가 걸려서 내려가지 않는 것 등을 치료한다.